앞으로 장애인과 노약자 등 교통 약자들이 보다 빠르게 이동지원 차량을 배차받을 수 있게 된다.
행정안전부 통합데이터분석센터는 대전교통공사와 협업해 '인공지능(AI) 기반 교통약자 이동지원 배차 효율화' 분석을 완료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분석은 지난 7월부터 약 3개월간 대전광역시를 모델로 진행됐다.
대전시는 올해 기준 약 2만 명의 교통약자가 등록돼 있다. 교통약자 이동지원을 위한 전용 차량이 96대 운행 중이며 지난 한 해 동안 약 110만회 운행했다.
이동차량 이용을 희망하는 교통약자가 콜센터에서 전화 신청을 하면 가장 가까운 거리에 대기하고 있는 운전원이 배정된다.
그러나 차량 신청부터 탑승 시까지의 배차 시간과 직결되는 이동차량의 대기 장소는 그간 신청자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운전자가 임의로 결정해온 탓에 교통약자가 실제로 신청 후 탑승까지 걸리는 시간은 평균 22분, 최대 51분에 달했다. 차고지 역시 신청자 위치와 관계 없이 지자체 사정에 따라 지정·운영돼 불편을 가중시켜 왔다.
이에 교통약자들의 시간대별 이용 현황을 분석해 이용자 수가 가장 많은 출발지와 목적지를 찾고 대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 대기지역 5개 동(洞)을 새롭게 도출해냈다.
기존에 운영 중인 차고지 7곳에 대한 위치 적절성을 분석한 후 배차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는 새로운 차고치 6곳도 찾아냈다.
AI가 제안한 곳은 ▲중구 태평동(19대) ▲대덕구 신일동(17대) ▲유성구 온천동(25대) ▲동구 주산동(12대) ▲유성구 방동(6대) ▲동구 이사동(17대)이다.
이 곳에서 배차 신청을 받는 경우 신청지까지의 이동 거리는 기존 평균 5.0㎞에서 2.9㎞로 약 41%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대전시와 대전교통공사는 이번 분석 결과를 활용해 이달 말부터 이동차량의 대기 장소를 새롭게 전환하고 내년부터는 차고지 위치도 단계적으로 조정해 나갈 계획이다.
행안부는 대전시뿐 아니라 이동차량을 운영 중인 전국 지자체로 확대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분석 모델화해 나가기로 했다.
고기동 행안부 차관은 "이번 분석 결과는 배차 시스템을 바로 개선해 교통약자의 이동권 향상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앞으로도 사회적 약자 보호의 가치가 현장에서 잘 구현될 수 있도록 체감도 높은 데이터 분석과제를 발굴·시행해 나가겠다"고 말했다.